약 6개월 만에 다시 돌아왔습니다. 골딱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궁금하다면...

 

6개월동안 블로그를 방치했던 이유

안녕하세요, 골딱이바위게입니다. 지난 2019년 롤드컵부터 2020 LCK Spring 시즌까지 포스팅하다가 돌연 잠적했는데요 그동안의 근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롤토체스 입문부터 다이아까지 6개월 전

im7hemist0cles.tistory.com

 

 

 

 

한국 시각으로 9월 16일 오후 9시에 롤드컵 조 추첨이 열렸고 VCS(베트남 리그) 2팀의 불참으로 인해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 팀 수가 10팀으로 변경되어 총 22팀의 조 추첨이 완료됐습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

 

플레이-인 스테이지 조 추첨 결과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베트남에 발이 묶인 VCS 두 팀이 결국 롤드컵에 불참하면서 이번 시즌에는 플레이-인 참가팀이 10팀으로 줄었고 기존 3팀 1조 총 4조 편성에서 5팀 1조 총 2조 편성으로 바뀌었습니다.

 

주목할만한 팀은 메이저 리그 4팀과 함께 유니콘스 오브 러브(LCL), 파파라 슈퍼매시브(TCL)가 있습니다.

 

◈플레이-인에서는 LCK를 볼 수 없지만 한국 선수들이 곳곳에 있습니다. 플레이-인 롤드컵 진출 팀 중에서 한국 선수를 소개합니다.

 

1) LPL(중국)

LGD 게이밍

-피넛(Peanut) : 한왕호, JGL

-크레이머(Kramer) : 하종훈, BOT

 

2) LCS(북미)

팀 리퀴드

-임팩트(Impact) : 정언영, TOP

-코어장전(CoreJJ) : 조용인, SPT

 

3) PCS(동남아시아) : 올해부터 LMS(대만-홍콩-마카오 리그)+LST(기존 동남아시아 리그)가 5년 만에 통합된 리그

PSG 탈론 : ※PSG=파리 생제르망

-탱크(Tank) : 박단원, MID

-리버(River) : 김동우, JGL

 

4) TCL(터키)

파파라 슈퍼매시브

-카카오(KaKAO) : 이병권, JGL

-눈꽃(SnowFlower) : 노회종, SPT

 

5) OPL(오세아니아)

레거시 e스포츠

-토푼(Topoon) : 김지훈, TOP

 

6) LJL(일본)

V3 e스포츠

-부기(Bugi) : 이성엽, JGL

-아처(Archer) : 이근희, BOT

 

 

 

 

#그룹 스테이지

 

그룹 스테이지 조 추첨 결과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중국-유럽이 지난 2년 동안 강세를 이어오면서 이번 시즌에도 우승권에 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유럽 강호 G2와 프나틱이 서머 정규 리그에서 좀처럼 힘을 못 쓰면서 작년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자연스레 중국 리그 팀의 1-2시드와 같은 조에 배정되면 죽음의 조가 될 것으로 예상했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LCK는 각각 B조(1시드 담원), C조(3시드 젠지), D조(2시드 DRX)에 배정됐습니다. B조와 D조는 우승 후보인 징동 게이밍과 TOP e스포츠가 있고 플레이-인에서도 메이저 리그 팀이 올라올 가능성이 매우 높기에 꽤나 박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Welcome to the hell

 

◈그룹 스테이지에서 LCK 외에 다른 팀에서 활약하는 한국 선수를 소개합니다

 

1) LPL(중국)

징동 게이밍

-카나비(Kanavi) : 서진혁, JGL

-로컨(LokeN) : 이동욱, BOT

 

2) LCS(북미)

플라이퀘스트

-이그나(IgNar) : 이동근, SPT

 

 

2년 동안 도전자의 위치에서 고전하던 LCK도 점점 세대교체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예전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LCK 3팀을 보면서 G2 정도는 해볼 만하겠다 생각이 듭니다.

 

LCK, 이번 시즌에는 기대해도 되겠습니까?

 

 

 

블로그 이미지

골딱이바위게

그냥 하고 싶은 말 싸지르는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