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T1이 그리핀에 이어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습니다. 전승에는 실패했지만 그 덕분에 프나틱이 8강을 가는 이변이 벌어졌죠. 이로 인해 우지 선수는 롤드컵에서 결승, 4강, 8강, 16강에서 모두 SKT에게 탈락하는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페이커와 우지는 롤드컵에서 가장 오랫동안 우열을 겨룬 각국 인기스타입니다. 우지는 다른 우승컵은 다 들어 올렸어도 항상 페이커의 존재로 롤드컵 우승을 못했는데요, 이번에는 SKT가 조별리그 순위를 조작(?)하는 바람에 탈락에 간접 영향을 받았습니다. 사실 프나틱 경기력이 1라운드에 비해 폼을 되찾고 엄청난 실력을 보여줬지요. SKT가 프나틱 경기 패배를 어떻게 피드백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토너먼트에서도 중요할 겁니다. 단순히 져준 게 아니라 프나틱이 잘해서 이긴 거고 다른 팀들에게 약점이 드러났을 겁니다. 하지만 분명 약점은 쉽게 드러나지 않을 것이고 우승이 목표라면 분명 다른 전략도 대비하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LCK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7일차 살펴보겠습니다.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5일차 일정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한 번의 실수로 승패가 뒤집혔다

SKT와 RNG의 두 번째 맞대결도 팽팽한 싸움으로 30분간 대치했다. RNG '카사' 자르반 4세는 감전 룬을 들어 초반 교전 위력애 힘을 실었고 미드에서 '페이커' 라이즈를 잡고 선취점을 올렸다. 11분에 전령 한타에서 SKT가 전령을 잡았지만 RNG가 밀어붙이며 SKT는 전령의 눈을 먹지 못했다. 하지만 이어진 용 한타에서 SKT는 한타 승리와 화염 용을 모두 챙겼다. RNG는 분전하며 SKT를 몇 차례 잘라먹고 바론을 가져갔다. SKT는 RNG의 무리한 틈을 놓치지 않고 잘 막아내며 더 이상의 스노우볼을 내주지 않았다. 그리고 이후 두 차례 한타에서 RNG가 허무하게 무너지며 SKT가 승리했다. RNG는 '에포트' 레오나를 잡느라 스킬이 다 빠진 상태였고 그 틈을 파고든 SKT에게 모두 잡히고 말았다. 레오나가 오랫동안 버텨준 덕에 RNG의 판단은 승패를 좌우하는 큰 실수를 저지른 셈이다. 결국 SKT를 한 번도 잡지 못한 RNG는 8강행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번 한번만 져주는 겁니다

SKT는 이미 8강행을 확정 지어가는 단계였고 프나틱은 8강행을 위해 승리가 간절한 상황이었다. 앞선 경기에서 클러치 게이밍을 제압한 프나틱은 이 경기를 이기면 8강행 가능성을 올릴 수 있었다. 승리의 여신은 간절한 자에게 손을 들어줬다. 초반에는 SKT가 소득을 챙겼지만 프나틱의 간절함으로 흐름이 바뀐다. 한타에서 계속 주도권을 잡은 프나틱은 바론을 먹은 시점에서 굳히기에 나섰다. SKT는 막대한 골드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프나틱에 연승이 끊겼다. '네메시스' 베이가는 SKT의 위협에 당하지 않고 무난히 성장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폭딜은 메서워졌다. 이로써 프나틱은 RNG와 8강행 최종전만을 남겨뒀다.

 



#둘 중에 이기는 놈만 살려준다

SKT와 RNG가 클러치 게이밍을 잡고 클러치 게이밍은 결국 전패를 하고 만다. 클러치 게이밍은 북미 대표 3시드로 출전해 죽음의 조에서 승리 자판기 역할을 피할 수 없었다. SKT는 조 1위를 확정 지었고 RNG는 프나틱과의 최종전을 치러야 했다. 승패가 동률이어서 이 한판으로 8강행이 정해지는 상황, 두 팀은 SKT에 의해 2위를 놓고 양보할 수 없는 경기를 앞뒀다.
경기 양상은 팽팽했지만 프나틱이 조금씩 앞섰다. 프나틱은 중요한 판에서 2인 바론 사냥을 하는 강수를 뒀다. '네메시스' 카시오페아와 '브록사' 그라가스가 기습 바론을 두 차례 시도한 끝에 바론을 먹고 RNG를 압박하기 시작했다. RNG는 거세게 저항해봤지만 프나틱은 골드 격차를 벌려놓고 다소 여유롭게 바론 운영으로 더 밀어붙였다. 프나틱은 '힐리생' 파이크가 탑 라인을 밀며 미드와 함께 2억제기를 먼저 밀어놓고 정비 후에 바텀 라인에서 교전을 벌였다. 파이크는 교전하는 사이 쌍둥이 포탑 체력을 야금야금 깎아냈다. RNG 정력이 찢어진 시이 프나틱은 하나 둘 상대를 잡아내고 넥서스를 파괴하며 극적으로 8강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C조 최종 결과

1. SKT T1 (LCK) 5-1

2. Fnatic (LEC) 4-2

3. Royal Never Give Up (LPL) 3-3

4. Clutch Gaming (LCS) 0-6

 

블로그 이미지

골딱이바위게

그냥 하고 싶은 말 싸지르는 곳

,

그리핀과 C9 경기를 마지막으로 LCK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가 마무리되었습니다. SKT는 3승으로 C조 1위에 안착했고 그리핀과 담원은 2승 1패로 준수한 성적을 거뒀습니다. A, C, D조는 한치도 양보할 수 없는 승부가 펼쳐지는 가운데, B조는 서로 팽팽한 양상입니다. J팀은 LMS 지역 중 유일하게 2승이나 거뒀고 저번에 펀플러스도 잡았기에 네 팀 모두 기회를 엿보게 되었습니다. 한편 그리핀은 씨맥 전 감독의 폭로로 상황이 불거지고 있는데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계속해서 관련 내용이 보도되고 있고 그리핀 측에선 아직까지 묵묵부답인 상태입니다. 사건이 잘 마무리되길 바랄 뿐입니다.

 

LCK 그룹 스테이지 4일 차 SKT T1과 Griffin 경기 살펴보겠습니다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4일차 일정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영원한 클래스를 선사해주셨습니다 - SKT T1 vs Clutch Gaming (10/15 오후 11:00)

 

SKT는 몸풀기 마냥 개인기량을 뽐내며 여유롭게 경기를 가져갔다. 초반부터 바텀 공략에 들어가며 상대를 압박하더니 '페이커' 아칼리의 선취점을 시작으로 뒤늦게 합류한 '후니' 블라디미르까지 처치하며 대형 사고를 터트렸다. 후니는 사고의 충격이 컸는지 탑에서 '칸' 아트록스에 솔로킬까지 내줬다. 그리고 이어진 전령 한타에서 SKT는 한타 대박을 냈고 상대 전령을 그대로 가져갔다. 이 한타를 기점으로 클러치 게이밍은 완전히 무너졌다. 페이커는 아킬리로 무쌍을 찍어내고 그 사이 화염용 3개를 가져가며 적진을 더욱 무참히 짓밟았다. 더 이상 저항할 힘이 다 빠지자 SKT는 그대로 넥서스를 파괴하며 26분 게임을 마무리했다.

SKT는 전 라인 고른 활약과 페이커-칸의 맹활약으로 '노 히트 노 런'급 기록을 냈다. 이로써 1라운드 전승을 올리고 C조 1위를 굳혔다.

 

'페이커'를 도저히 막을 수 없습니다! '후니' 블라디미르를 솔로킬 내는 모습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바텀의 원조 드러눕기 vs 신흥 드러눕기 - Griffin vs Cloud 9 (10/16 오전 02:00)

 

이번 시즌을 호령한 소나 원딜-탐 켄치와 신흥 바텀 조합 캣타워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13분까지 기회를 엿보다 C9 '블레이버' 엘리스가 탑에서 선취점을 가져가고 1대1 킬 교환을 하고 바텀에서 다시 킬 교환을 했다. 중반에 우위를 점한 쪽은 C9이었다. 그리핀이 적 챔피언을 자르며 막아봤지만 C9이 포탑을 밀고 바론을 가져갔다. 하지만 그리핀은 계속 한타 교전을 열었고 몇 차례 이기자 C9의 사이드 운영을 책임진 '리코리스' 피오라는 교전에 합류하지만 이미 비벼진 뒤였다. 리코리스는 바텀을 밀다가도 팀이 물리면 어쩔 수 없이 합류하며 사이드 푸시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에는 그리핀에게 주도권이 넘어갔다. 바론을 먹은 그리핀은 C9 본진을 사방으로 압박하며 서서히 3 억제기를 밀었다. C9은 강하게 저항해서 한 차례 지켰지만 그리핀은 재정비 후 C9을 밀어붙이고 43분에 넥서스를 파괴한다.

 

'리코리스' 피오라는 팀이 몇 차례 한타에서 지고 사이드 운영이 막혀 더이상 성장을 못했다. 바텀에서 순간이동으로 도주를 시도하다 잡히는 모습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블로그 이미지

골딱이바위게

그냥 하고 싶은 말 싸지르는 곳

,
죽음의 조는 오늘도 치열했습니다. Fnatic은 SKT T1전 패배의 충격이 컸는지 집중력이 떨어져 보였지만 Clutch Gaming을 제압했고 IG는 더 샤이와 루키의 활약으로 Team Lequid를 잡았습니다. Cloud 9은 의외로 Hong Kong Atittude에 고전하며 47분간 대혈투를 끝냈습니다.
오늘 경기로 캣타워(가렌-유미)의 전적은 1승 3패가 되었습니다. 승률은 좋은 편이 아님에도 중후반의 단단함이 좋아보이는지 아직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프나틱 vs 클러치 게이밍과 C9 vs 홍콩 애티튜드 전에서 그 모습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유미를 밴하는 것 또한 고려할 사항으로 꼽힐 것입니다. 캣타워는 분명 공략이 가능하지만 무시못할 능력치를 뽑아내는 픽임은 분명합니다. 앞으로 어떤 픽이 눈을 즐겁게 할지 기대됩니다.

2일차 경기 SKT T1과 DAMWON, Griffin전을 살펴보겠습니다.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2일차 일정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 : 난 이미 예고했다 - SKT T1 vs Royal Never Give Up (10/13 오후 09:00)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두 팀간의 라이벌전이 펼쳐졌다. SKT는 RNG와 싸움에서 용호상박의 접전을 벌였다. 하지만 RNG는  '우지' 자야를 성공적으로 성장시켰고 30분쯤에 4코어템을 뽑아냈다. 승기가 RNG로 기울고 SKT 바텀에서 대치중일 때 '페이커' 트위스티드 페이트는 계속 탑 라인을 밀고있었다. RNG가 한타각을 보고있을 때 페이커는 주도적으로 백도어 콜을 했는지 합류하지 않고 계속 탑 라인을 밀며 '칸' 레넥톤이 탑 라인으로 순간이동했고 나머지는 RNG의 귀환을 방해했다. 뒤이어 '테디' 이즈리얼도 순간이동으로 적 본진에 합류해 순식간에 넥서스를 파괴한다.
이번 경기는 미리보는 결승전다운 꿀잼경기를 팬들애게 선사해주었다. 관전 포인트로 초중반 주고받는 접전의 한타와 위기의 순간 해결사로 활약한 '클리드' 그라가스, 트페를 픽한 이유 등 많은 볼거리를 제공했다.
우선 페이커가 백도어를 감행할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SKT는 대지의 드래곤 2개를 먹었다
2. 순간이동을 3명이 들고 있었다
3. 바텀 한타를 열어봤자 이득을 보기 힘든 상황이다

게임의 흐름이 RNG로 넘어가자 페이커는 이런 조건들을 바탕으로 사이드 운영을 계속하고 있었다. 이쯤되면 페이커는 밴픽부터 판을 다 읽고있는 것 같다.
이로 인해 우지는 풀템을 뽑고도 한타 한번 제대로 못하고 패배한 이 판 최대의 피해자가 되었다.

페이커의 백도어를 시작으로 줄줄이 순간이동을 타고 RNG의 본진을 파괴했다.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도벽중독 - DAMWON Gaming vs ahq eSports Club (10/14 오전 00:00)

담원은 카밀-리 신-아칼리-카이사-레오나로 각자 잘하는 픽을 골랐다. ahq는 이에 맞서 럼블-자르반 4세-키아나-자야-라칸을 꺼냈다. 초반에는 주고받는 교전이 이어졌다. 담원은 다소 실수가 있었지만('베릴' 레오나 벽플이라던가) 중후반으로 갈수록 대체로 무난하게 피지컬 차이로 찍어눌렀다. ahq는 '알렉스' 자르반 4세가 좀처럼 힘을 못쓰자 '지브' 럼블도 같이 맥빠졌다. 담원은 ahq에게 상체차이를 제대로 보여줬다.

비록 죽었지만 '뉴클리어' 카이사의 몸니시에이팅으로 이 한타를 이기고 그대로 게임을 마무리했다.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목표는 그랜드슬램이다 - Griffin vs G2 (10/14 오전 01:00)

현 세체팀의 벽은 높았다. 그리핀은 시종일관 G2에게 놀아났다. 그리핀은 상체 픽으로 레넥톤-탈리야-이렐리아를 자신있게 꺼냈다. 하지만 G2는 개의치 않고 오른-엘리스-오리아나로 후반 조합을 꺼냈다. 그리핀은 처음부터 꼬였다. '타잔' 탈리야는 초반 정글링과 동선이 지체되었고 그 사이 탑 라인 갱킹을 허용했다. 바텀 한타에서도 킬을 헌납하며 힘든 와중에 '쵸비' 이렐리아는 갱승하며 분전했다. 그러나 연이어 한타에서 패하며 바론을 내줬고 G2는 넥서스를 여유롭게 파괴했다.
그리핀은 롤드컵 전에 감독이 경질되는 일이 있었다. LCK 승격 이후 가장 잘 나가는 팀으로 급부상했고 준우승 3회를 달성하며 차세대 강팀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대표-감독간 내부갈등이 계속 이어졌고 롤드컵 열흘 전 감독이 공석으로 빈 채 대회를 기다려야했다. 이번 경기는 감독의 부재가 느껴졌다. 밴픽과 한타, 운영은 이전의 그리핀이 아니었다. 그리핀만의 색은 사라졌고 평범한 팀이 된 것 같았다.
 
G2의 벽은 아직 높게만 느껴진다. (출처 : 유튜브 채널 LCK)
 
블로그 이미지

골딱이바위게

그냥 하고 싶은 말 싸지르는 곳

,